100~200만원대 가성비 영상용 카메라 비교 추천

 

100만~200만원대 가성비 영상용 카메라 비교

오늘은 영상 제작, 브이로그, 여행 촬영, 단편영화, 다큐멘터리 등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성비 좋은 카메라를 엄선했습니다.
특히, 4K 촬영은 기본이면서도, 약 100만 원에서 200만 원 사이로 구매 가능한 모델들 위주로 정리해봤는데요.

각 카메라의 장점단점실 사용자들의 후기까지
다각도로 정보를 모았으니, 구매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비교 대상 카메라 목록

  1. 소니 A7C
  2. 캐논 EOS R7
  3. 파나소닉 Lumix S5
  4. 후지필름 X-T4
  5. 니콘 Z6 II

이 다섯 모델은 모두 시장에서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미러리스 라인업이며,
2025년 시점에서도 충분히 현역으로 통할 만한 스펙과 기능을 자랑합니다.


1. 소니 A7C

가성비 카메라 a7c 가성비 카메라 a7c후면

소니 A7C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콤펙트’ 한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예요.
풀프레임 센서를 탑재 했음에도 작고 가벼운 바디를 지녀서 휴대성이 뛰어납니다.

장점 (+)

  • 소형 & 경량 풀프레임: 풀프레임 센서(약 2,400만 화소)를 탑재하고도 타 미러리스 대비 매우 컴팩트한 바디.
  • 우수한 오토포커스: 소니의 ‘실시간 Eye AF’가 빠르고 정확하게 인물·동물 눈을 포착.
  • 뛰어난 영상 성능: 4K 30p (풀프레임), 120fps 슬로모션(FHD), 그리고 S-Log3, HLG 등의 프로파일로 색보정에 유리.
  • 5축 손떨림 보정: IBIS(바디 내장 손떨림 보정)로 야외 핸드헬드 촬영에도 안전.
  • Z 배터리: 1시간 정도 촬영 가능, 동영상도 준수한 편.

단점 (-)

  • 바디 상단에 공간이 협소해 조작계(다이얼, 버튼)가 비교적 간소함.
  • 메모리 카드가 싱글 SD 슬롯뿐이라 듀얼 슬롯을 원한다면 아쉬움.
  • 4K 60p 촬영은 미지원(최대 4K 30p), 전문 영상가에게는 프레임레이트가 조금 부족할 수 있음.
  • 탑핸들, 외장 모니터 등 액세서리 부착 시 소형 바디의 불편함이 드러날 수 있음.

실 사용자 후기

  • 풀프레임을 이렇게 작게 만든 것 자체가 혁명이다”라는 평가가 많음.
  • AF 성능과 색감(특히 인물 스킨톤)은 “역시 소니!”라는 반응이 대체적으로 우세.
  • 영상 촬영 시 발열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편이라는 후기도 존재.
  • 하지만 다이얼 부족으로 직관적인 조작성이 떨어진다는 불만도 있음.

2. 캐논 EOS R7

 

가성비 카메라 캐논eos-r7 가성비 카메라 캐논eos-r7후면

캐논 EOS R7은 APS-C 규격의 미러리스면서도 영상 기능과 사진 성능 모두를 강화한 모델입니다.
캐논에서 중급기 라인업에 해당하며, 빠른 연사와 최신 듀얼 픽셀 CMOS AF II를 자랑합니다.

장점 (+)

  • 고화소 APS-C 센서: 약 3,250만 화소로, 사진 해상력이 훌륭함.
  • 4K 60p 지원: 크롭 없이 4K 60p(오버샘플링)로 고화질 영상을 뽑아낼 수 있음.
  • 듀얼 픽셀 CMOS AF II: 인물·동물·차량 인식이 가능하며, 속도와 정확도가 업그레이드됨.
  • 바디 내장 5축 손떨림 보정: 최대 7스톱 보정으로 흔들림을 크게 줄여줌.
  • 듀얼 SD 카드 슬롯: 동시 기록 및 백업에 유리함.

단점 (-)

  • 풀프레임이 아니다 보니 광각 렌즈 선택 폭이 다소 제한적일 수 있음(초광각 필요 시 추가 렌즈 비용 증가).
  • RF-S 마운트 렌즈 라인업이 아직 초기 단계라 선택지가 많지 않다는 지적.
  • 바디 자체는 비교적 가볍지만, 고화소로 인한 롤링셔터가 일부 사용자에게 문제가 될 수 있다는 후기.
  • 색보정용 로그(C-Log3)는 지원하지만, 내부 10bit 4:2:2나 RAW 영상 녹화는 미지원(추가 장비 필요).

실 사용자 후기

  • “캐논 크롭 바디의 끝판왕”이라는 평이 많고, 인물·동물 AF가 “매우 빠르고 정확하다”는 반응.
  • 4K 60p 영상을 오버샘플링으로 뽑아내 화질 만족도가 높다는 후기.
  • 번들 렌즈(18-150mm)와 함께 사용 시 여행/영상용으로 완벽하다는 사용자도 다수.
  • 풀프레임 대비 “배경 흐림이 적다”는 점을 아쉬워하는 사람도 있으나, 반대로 망원 활용도는 높다는 평가.

3. 파나소닉 Lumix S5

 

가성비 카메라 루믹스s5 가성비 카메라 루믹스s5후면사진

파나소닉 Lumix S5는 풀프레임 센서를 탑재한 영상 특화 카메라로,
10비트 4:2:2 내부 녹화, 듀얼 네이티브 ISO 등으로
시네마 카메라에 준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다만 AF가 콘트라스트 기반이라는 점이 소니·캐논 대비 약점으로 거론되곤 해요.

장점 (+)

  • 풀프레임 센서(약 2,420만 화소): 사진 품질과 고감도 노이즈 억제력 우수.
  • 듀얼 네이티브 ISO: 저조도 촬영 시 노이즈가 적고, V-Log 촬영 시 약 14스톱 다이내믹레인지 확보.
  • 10비트 4:2:2 내부 녹화: 색보정 자유도가 높아 전문 영상 제작에도 손색없음.
  • 5축 바디 손떨림 보정 + 듀얼 I.S.: 파나소닉 렌즈와 조합 시 최대 6.5스톱 보정.
  • 듀얼 SD 슬롯: 대용량 10비트 영상을 백업하면서 동시에 녹화 가능.

단점 (-)

  • AF 시스템: 콘트라스트 기반 DFD AF라 소니·캐논 등의 위상차 AF에 비해 동체 추적 성능이 다소 부족.
  • 4K 60p는 약 1.5배 크롭이 들어가므로 광각 활용이 제한됨.
  • 배터리가 크게 작지는 않지만, “AF가 계속 구동될 땐 소모가 빠르다”는 리뷰도 있음.
  • 파나소닉 S 렌즈군이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높아, 추가 렌즈 비용 부담이 있을 수 있음.

실 사용자 후기

  • “영상미가 뛰어나고 색보정 여유가 커서 ‘영상용으로 최고’”라는 반응이 대표적.
  • AF가 업계 최고 수준은 아니지만,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점차 개선되었다는 후기.
  • “RAW나 ProRes 같은 무거운 포맷은 외장 레코더로 가능해서 확장성이 좋다”는 의견.
  • 고급 기능에 비해 가격이 낮아, 가성비 “시네마 카메라 대용”으로 평가하는 사람도 있음.

4. 후지필름 X-T4

후지필름x-t4

 

후지필름 X-T4는 APS-C X-Trans 센서 기반으로,
특유의 클래식한 디자인과 필름 시뮬레이션이 인기 요인입니다.
영상 부분에서도 4K 60p, 10배 슬로우모션(FHD 240fps)을 지원해 창의적 촬영에 강점이 있어요.

장점 (+)

  • X-Trans CMOS 4 센서(26MP): 모아레 억제, 선명한 색 표현.
  • 5축 IBIS: 최대 6.5스톱 손떨림 보정으로 핸드헬드 촬영 안정감.
  • 4K 60p, FHD 240fps 슬로모션: 영상 표현의 다양성(슬로우 효과)이 뛰어남.
  • 필름 시뮬레이션 모드 & F-Log: 별도 LUT 적용 없이도 감성적인 컬러 재현 가능.
  • 듀얼 UHS-II SD 슬롯: 백업 녹화 혹은 사진·영상 분리 저장 가능.

단점 (-)

  • 풀프레임 대비 심도 얕은 표현(보케)가 불리할 수 있음.
  • AF가 전작(X-T3)보다 개선되었으나, 급격히 움직이는 동체에는 간혹 추적이 놓치는 경우가 보고됨.
  • 후지필름 렌즈가 훌륭하지만, 서드파티 렌즈 지원은 소니·캐논보다 상대적으로 적음.
  • 약간의 발열 보고가 있으며, 장시간 4K 60p 촬영 시 후면부가 뜨거워질 수 있음.

실 사용자 후기

  • “사진 찍는 즐거움”을 강조하며, “구도 잡고 필름 시뮬레이션 고르는 맛이 난다”는 의견이 많음.
  • 색감이 돋보여 브이로그, 여행 영상에 깔끔하게 어울린다고 호평.
  • “동체추적 AF는 아직 소니·캐논 만큼은 아니다”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됨.
  • X-T5 나오면서 가격이 내려가서 가성비가 좋아졌다”는 긍정적 후기도 있음.

5. 니콘 Z6 II

니콘z6ii

니콘 Z6 II는 1세대 Z6에서 프로세서 듀얼화 등 성능을 향상시키고,
듀얼 메모리 슬롯을 도입해 안정성을 높인 풀프레임 미러리스입니다.
사진, 영상 양쪽에서 균형 잡힌 퍼포먼스를 보여주죠.

장점 (+)

  • 풀프레임(약 2,450만 화소): 전반적으로 깨끗한 고감도 성능 & 깊은 색 표현.
  • 5축 바디 손떨림 보정(VR): 핸드헬드 촬영 시 흔들림 최소화.
  • 4K 60p: 펌웨어 업데이트로 APS-C 크롭(1.5배) 상태지만, 영상 프레임레이트가 강화됨.
  • 듀얼 슬롯 (CFexpress/XQD + SD): 빠른 쓰기 속도와 백업 녹화 동시에 만족.
  • N-Log, HDR(HLG) 지원: 색보정 및 다이내믹레인지 확보에 유리.

단점 (-)

  • 4K 60p 사용 시 크롭이 필요해 광각 촬영에 제약이 있을 수 있음.
  • 10비트 4:2:2 출력은 외부 레코더를 사용해야 가능(내부 기록은 8비트 한정).
  • 소니 E마운트나 캐논 RF 대비 서드파티 렌즈 선택지가 다소 제한적.
  • 후면 모니터가 완전 회전형(플립 스크린)이 아니라 브이로그 셀피 용도로는 불편.

실 사용자 후기

  • 니콘 색감”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최고의 선택이라는 호평이 종종 보임.
  • “사진, 영상 두 마리 토끼를 전부 잡은 만능기”라는 사용자 후기가 많음.
  • AF가 1세대보다 개선되었으나, 동체추적은 여전히 “소니, 캐논보다는 조금 느리다”는 의견.
  • 견고한 마그네슘 합금 바디 & 방진방적 구조가 “밖에서 막 굴리기 좋다”는 평.

제품 사양 종합 비교 표

브랜드 / 모델 센서 크기
(화소수)
4K 영상
프레임
손떨림
보정
AF 방식 메모리 슬롯 가격대 특징 요약
소니 A7C 풀프레임
(약 24MP)
4K 30p
(FHD 120p)
5축 IBIS 위상차+콘트라스트
693포인트 Eye AF
싱글 SD 약 180만 원대 풀프레임 최고의 휴대성
발군의 AF, 긴 배터리
캐논 EOS R7 APS-C
(약 32.5MP)
4K 60p
(FHD 120p)
5축 IBIS 듀얼 픽셀 CMOS AF II
(인물/동물/차량)
듀얼 SD 약 160만 원대 고화소 크롭바디
AF, 화질, 휴대성 우수
파나소닉 S5 풀프레임
(약 24MP)
4K 60p (1.5×크롭)
4:2:2 10bit 내부
5축 IBIS
+ 듀얼 IS
콘트라스트 DFD
(얼굴/눈 인식)
듀얼 SD 약 180만 원대 영상 특화, 듀얼 네이티브 ISO
색보정·시네마 촬영 강점
후지 X-T4 APS-C
(약 26MP)
4K 60p
FHD 240fps 슬로모
5축 IBIS
(최대 6.5스톱)
하이브리드 AF
(425포인트)
듀얼 SD
(UHS-II)
약 170만 원대 필름 시뮬레이션
영상·사진 색감 우수
니콘 Z6 II 풀프레임
(약 24.5MP)
4K 60p (1.5×크롭)
내부 8bit / 외부 10bit
5축 VR 273포인트 위상차
(Eye AF 지원)
CFexpress/XQD + SD 약 200만 원대 든든한 바디 내구성
사진·영상 모두 무난

마무리 및 선택 가이드

사실상 위 다섯 모델은 ‘어느 걸 골라도 실패하지 않는다’라는 평을 들을 정도로,
가격 대비 영상 + 사진 성능이 고루 뛰어납니다.
하지만 촬영 스타일이나 주력 용도에 따라 더 적합한 제품이 있을 수 있죠.
아래를 참조해서 최종 결정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 AF 성능, 핸들링 중시:
    • 소니 A7C – 풀프레임 장점 + 뛰어난 Eye AF + 작은 바디
    • 캐논 EOS R7 – APS-C지만 고화소 & 동체추적 AF 최상급
  • 전문적인 영상 제작, 컬러 그레이딩:
    • 파나소닉 S5 – 10bit 4:2:2, 듀얼 네이티브 ISO, 시네마 수준의 다이나믹레인지
    • 후지 X-T4 – 크리에이티브한 필름 시뮬레이션과 뛰어난 슬로모션
  • 만능형 풀프레임 바디:
    • 니콘 Z6 II – 견고한 바디, 듀얼 슬롯, 니콘 색감 + 올라운드 성능

요약하자면, “4K 60p가 필요한가?”, “풀프레임 vs APS-C”,
“AF 성능 vs 색보정” 중 어떤 것을 더 중시하는지를 고민하면 선택이 쉬워요.
실제로 여러 사용자들의 후기를 보면,
나는 동물 촬영이 많으니 듀얼 픽셀 AF II가 탑재된 캐논이 좋더라
시네마틱한 영상을 찍고 싶어서 파나소닉 S5로 갔다” 등
각자의 용도와 취향이 구매 결정의 포인트였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한 5대 가성비 카메라가 여러분의 촬영 라이프에 든든한 동반자가 되길 바라며,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언제든 질문 주세요. 즐거운 촬영 되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