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에 최적화된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 4종을 비교분석 해보겠습니다.
이번 카메라 비교 추천 가이드에서는 Sony A7r5, Canon EOS R5 Mark2, NiKon Z7m2, panasonic Lumix S1r 을 비교분석 해보겠습니다.
이 카메라들은 현역 최고의 미러리스로 해당 카메라들의 핵심 특징을 살펴 보겠습니다.
각 모델의 장단점과 사진 촬영 성능을 설명드리고
풍경, 인물, 제품, 스튜디오 촬영 등 촬영 스타일별로 어떤 카메라가 당신에게 가장 최적의 카메라인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문가용 카메라 추천 리스트에 늘 등장 하는 이 카메라들의 실제 사용자 후기까지 포함해 정리 했으니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장비 선택에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Sony A7R V vs. Canon EOS R5 Mark II vs. Nikon Z7 II vs. Panasonic S1R 비교
사진 촬영에 최적화된 미러리스 카메라 4종(소니 A7R V, 캐논 EOS R5 Mark II, 니콘 Z7 II, 파나소닉 S1R)을 친근한 설명과 기술적 분석을 통해 비교합니다. 각 모델의 사양, 차별점, 추가 기능, 그리고 실제 사용 후기를 확인해 보세요.
항목 | Sony A7R V (소니, 2022) |
Canon EOS R5 Mark II (캐논, 2024) |
Nikon Z7 II (니콘, 2020) |
Panasonic S1R (파나소닉, 2019) |
---|---|---|---|---|
센서 (해상도) | 61MP 이면조사 CMOS (BSI) Exmor R 센서 (ISO 100~32000) |
45MP 적층형 BSI CMOS 듀얼픽셀 CMOS AF II (ISO 100~51200) 출처: DPREVIEW.COM |
45.7MP 이면조사 CMOS (ISO 64~25600, 확장 32) – 저ISO 동급최강 DR 출처: PHOTOGRAPHYLIFE.COM |
47.3MP CMOS (ISO 100~25600) (라이카 SL2와 동일계열 센서) |
손떨림 보정 | 5축 바디 IS – 최대 8스톱 보정 출처: KEITHWEE.COM |
5축 바디 IS – 최대 8스톱 보정 (렌즈 OIS 협조) 핸드헬드 촬영에 자유로움 |
5축 바디 IS – 최대 5스톱 보정 (VR 렌즈 사용 시 5.5스톱) |
5축 바디 IS – 최대 5.5스톱 보정 (Dual I.S.2 렌즈 시 최대 6.5스톱) |
연속촬영 속도 | 최고 10 fps (메카닉/전자동일) ※ 무손실 RAW 시 약 7 fps |
메카닉 최고 12 fps, 전자셔터 최고 30 fps (블랙아웃 없음) 출처: MICHAELRUNGPHOTOGRAPHY.COM |
최고 10 fps (메카닉/전자) (버퍼 약 3초 지속) 출처: PHOTOGRAPHYLIFE.COM |
최고 9 fps (AF-S 고정), 6 fps (AF-C 추적) 출처: REVIEWS.GIGGSTER.COM |
AF 시스템 및 특징 | 759점 위상차 하이브리드 AF AI 딥러닝 AF 전용 프로세서 탑재 인물, 동물, 새, 곤충, 차량/기차/비행기 인식 출처: IMAGING-RESOURCE.COM / FLORISSMEETS.COM |
듀얼픽셀 CMOS AF II (전체 영역) Eye Control AF (시선 제어 AF)로 초점 지정 인물, 동물, 차량 인식 및 딥러닝 추적 강화 출처: CAM.START.CANON |
493점 하이브리드 AF (위상+콘트라스트) 사람 얼굴/눈, 동물(개/고양이) 눈 인식 지원 저조도 -3~+19EV AF, 펌웨어 개선으로 속도 향상 |
225영역 콘트라스트 AF (DFD 기술) 사람 얼굴/눈, 동물 인식(AF 보조) 지원 연속 AF 시 포커스 흔들림 존재 저조도 -6EV까지 AF 가능 (AF조명 사용) |
EVF 및 LCD | EVF: 944만 도트 OLED, 0.90× 배율 (120fps) LCD: 3.2″ 210만 도트, 4축 틸트+스위블 터치스크린 |
EVF: 576만 도트 OLED, 0.76× 배율 (120fps) LCD: 3.2″ 210만 도트, 스위블 회전 터치스크린 |
EVF: 369만 도트 OLED, 0.80× 배율 (60fps*) LCD: 3.2″ 210만 도트, 틸트형 터치스크린 *전력절약모드에서는 120fps 지원 안됨 |
EVF: 576만 도트 OLED, 0.78× 배율 (60/120fps) LCD: 3.2″ 210만 도트, 듀얼 힌지 틸트 터치스크린 (세로/가로 지원) |
메모리 슬롯 | 듀얼 슬롯: CFexpress Type A / SD UHS-II (겸용 2개) (고속 연사 시 Type A 권장) |
듀얼 슬롯: CFexpress Type B + SD UHS-II (동영상 8K 촬영 시 CFexpress 필수) |
듀얼 슬롯: CFexpress Type B (XQD) + SD UHS-II (백업 기록 지원) |
듀얼 슬롯: XQD (CFexp. B) + SD UHS-II (연사 시 XQD 권장) |
특장 기능 | • AI 피사체 인식 AF (사람/동물/곤충/차량) • 픽셀 시프트 멀티샷 (4장/16장 합성, 최대 240MP) • 8K 24p/4K 60p 영상 지원 및 초고해상도 EVF, 4축 멀티앵글 모니터 |
• 적층 센서 기반 30fps 무소음 연사 • Eye Control 시선 AF 및 프리샷 버스트 지원 • 8K 60p RAW/4K 120p 영상, HDR PQ 사진모드 지원 |
• 베이스 ISO 64로 뛰어난 다이내믹 레인지 제공 • 듀얼 EXPEED6 프로세서로 처리 속도 향상 • 187MP 하이레즈 모드 (8장 합성) 지원 |
• 듀얼 I.S.2 (바디+렌즈)로 안정된 핸드 촬영 • L-마운트 연합으로 시그마/라이카 렌즈 호환 • 4K 60p 영상 (APS-C 크롭) 및 V-LogL 프로파일 지원 |
최적 용도 | 풍경 (초고해상도 디테일), 제품/상업 사진 (픽셀시프트 활용), 인물 (정밀한 아이 AF) 웨딩/행사 촬영에 적합 |
스포츠/야생 (초당 30연사, 뛰어난 AF 추적), 웨딩/행사, 풍경/여행, 인물/패션 촬영에 만능 활용 | 풍경/자연 (ISO 64 기반 극상 DR), 건축/야경, 인물/스튜디오 촬영에 적합 (스포츠/조류 촬영은 상위 모델 필요) |
제품/광고 (정밀 묘사, 187MP 모드 활용), 스튜디오 인물 (색 재현 우수), 풍경/야경 촬영에 적합 (영상/동체 촬영에는 부적합) |
실 사용기 평가 (장단점) | + 압도적 해상도와 세밀한 디테일 + 빠른 AF와 견고한 바디로 안정적인 촬영 – 고감도 촬영 시 노이즈 증가, 파일 크기 부담 |
+ 전문가용 올라운더 성능, 30fps 연사와 뛰어난 AF 추적 + 열 방출 시스템 개선으로 장시간 촬영에 유리 – 미세한 DR 손실, 발열 관리 개선 필요 |
+ 뛰어난 다이내믹 레인지와 정확한 컬러 재현 +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장시간 촬영 시 편안함 – 연속 AF 추적 및 연사 속도에서 경쟁 모델 대비 약점 |
+ 이미지 퀄리티와 견고한 내구성에 높은 평가 + 전문 스틸 이미지 촬영에서 탁월한 결과물 – AF 연속추적 성능 약점, 무게와 크기로 휴대성 낮음 |
출시년도 | 2022 | 2024 | 2020 | 2019 |
각 카메라에 추천 렌즈
Sony A7R V 추천 렌즈:
• Sony FE 16-35mm F2.8 GM – 풍경 및 건축 촬영에 탁월한 초광각 줌
• Sony FE 24-70mm F2.8 GM II – 여행, 인물, 제품 촬영 등 다목적 표준 줌
• Sony FE 85mm F1.4 GM – 인물 촬영에 최적, 부드러운 보케와 선명한 디테일 제공
Canon EOS R5 Mark II 추천 렌즈:
• Canon RF 15-35mm F2.8L IS USM – 초광각 줌으로 드라마틱한 풍경 및 건축 촬영
• Canon RF 24-70mm F2.8L IS USM – 웨딩, 행사, 일상 촬영에 만능 표준 줌
• Canon RF 85mm F1.2L USM – 인물 및 스튜디오 촬영에 최적, 뛰어난 배경 흐림 효과 제공
Nikon Z7 II 추천 렌즈:
• Nikkor Z 14-24mm f/2.8 S – 초광각 줌, 드라마틱한 풍경 및 건축 촬영에 탁월
• Nikkor Z 24-70mm f/2.8 S – 표준 줌으로 다목적 촬영에 유용
• Nikkor Z 85mm f/1.8 S – 인물 촬영에 적합, 선명한 배경 흐림 효과 제공
Panasonic S1R 추천 렌즈:
• Panasonic Lumix S Pro 16-35mm F4 – 광각 줌 렌즈로 풍경 및 건축 촬영에 우수
• Panasonic Lumix S Pro 50mm F1.4 – 인물 및 제품 촬영에 최적, 뛰어난 보케와 선명한 디테일 제공
• Panasonic Lumix S 24-105mm F4 Macro OIS – 범용 줌 렌즈로 접사까지 지원해 다양한 촬영에 대응
참고 자료: Canon 공식 웹사이트, 나무위키, DPReview, The Verge 등
소니 A7R5 초고해상도와 AI의 만남

A7R5 성능
소니 A7R5는 6100만 화소의 초고해상도 센서를 탑재한 사진 촬영 최적 카메라로 풍부한 디테일과 첨단 AF성능을 자랑합니다.
이전 세대와 동일한 6100만 화소 BSI CMOS 센서를 사용하지만 프로세싱 파워를 크게 높이고 전용 AI 프로세싱 유닛을 추가해 새로운 AF 시스템과 개선된 8스톱 손떨림 보정을 구현 했기 때문에 보다 나은 사진촬영을 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사람의 자세까지 인식하는 딥러닝 AF로 눈, 머리, 몸통은 물론 동물, 새, 곤충, 차량까지 피사체를 식별하여 정확히 초점을 맞춰 줍니다.

A7R5 사진 성능
A7R5는 최대 10fps 연속촬영이 가능하여 고화소 카메라치고 연사 성능도 준수한 편입니다. 다만 최고화질로 연사시 속도가 약간 떨어져 실사용 연사는 약 7fps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속 연사가 핵심인 스포츠 전문 카메라들과 비교하면 속도는 느리지만, 풍경이나 정물처럼 움직임이 적은 피사체촬영에서는 6천만 화소의 압도적 해상력으로 큰 이점을 줍니다.
실제 풍경 사진가들은 A7R5의 뛰어난 해상력과 광범위한 다이내믹 레인지에 찬사를 보내고 있습니다.
또한 픽셀시프트 멀티 촬영을 통해 2억4천만 화소 이미지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대형 인화나 상업 사진에 유리합니다.
다만 이렇게 높은 화소는 저조도 환경에서는 더 많은 노이즈를 보일 수 있는데 어떤 사용자도 “소니는 해상력이 높지만 고감도에서 노이즈가 더 끼는편” 이라고 의견을 남기기도 했죠.
하지만 이는 고화소 센서의 물리적 센서의 한계로 최신 소프트웨어 노이즈 감소로 개선이 가능하지만 저조도에서 캐논이나 니콘의 센서에 비해 약간 불리할수 있습니다.

A7R5 그외 기능
그외에 새로운 4축 멀티 앵글 LCD모니터를 통해 틸트식과 스위블식 회전을 모두 지원해줍니다. 따라서 로우 앵글이나 세로 구도의 촬영에서도 화면을 자유롭게 보면서 초라영할수 있어 실사용에서 편의성이 매우 좋았습니다. 전작대비 향상된 944만 도트 전자식 뷰파인더는 0.9배의 높은 배율과 120fps 부드러운 재생률로 광학식 뷰파인더에 가까운 몰입감을 주면서 사진 촬영에 훨씬 더 만족감을 줬습니다.
배터리 성능도 한번 충전으로 장시간 촬영이 가능해 고화소 촬영에도 불구하고 준수한편입니다.
A7R5 적합한 촬영
어떤 촬영에 적합할까?
A7R5는 풍경 사진 카메라로서 손색이 없습니다.
초고해상도 센서는 미세한 디테일까지 기록해줘 대형 프린트 출력이나 크롭 활용에 유리하고, 소니 특유의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로 밝은 하늘과 어두운 지형 모두 디테일을 살릴 수 있습니다.
또한 제품 촬영이나 스튜디오 촬영에서도 제품의 질감이나 모공까지 모두 담아내 상업 사진에서도 굉장히 좋았습니다.
다만 인물 촬영의 경우 너무 선명한 해상도로 피부 결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모델들이 조금 꺼려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정교한 Eye-AF를 통해 인물 사진 카메라로 매우 적합하며 고화소로 촬영 후 크롭해도 충분한 해상력을 보여주기때문에 구도 변경에 매우 유리했습니다.
결론적으로 A7r5는 디테일이 생명인 풍경, 제품, 예술사진 분야에서 최고의 사진용 미러리스 카메라로 평가 할수 있습니다.
사진 촬영 최적화 카메라를 찾는 분께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추천렌즈
Sony FE 16-35mm F2.8 GM2 : 광각 줌 렌즈로 풍경 및 건축 촬영에 최적입니다. 광범위한 화각과 우수한 해상력으로 A7R5의 센서를 활용해 구석까지
선명한 이미지 촬영이 가능합니다. 밤하늘 천체 사진이나 넓은 풍경에서도 엄청난 성능을 보여줍니다.
Sony FE 24-70mm F2.8 GM2 : 표준줌 명작으로 여행, 인물, 제품 등 거의 모든 상황에 대응하는 만능 렌즈입니다.
풍경에서는 24mm의 넓은 화각을, 인물에선 70mm 망원단으로 아름다운 배경 흐림을 얻을수 있어 스튜디오 촬영이나
이벤트 스냅에서도 두루 활용이 가능합니다. 높은 해상도와 부드러운 보케로 화질을 최대한으로 이끌어냅니다.
Sony FE 85mm F1.4 GM2 : 프라임 망원 렌즈로 인물 사진에 최적인 렌즈입니다.
얕은 피사계 심도로 피사체를 돋보이게 해주면서도 매우 뛰어난 해상력으로 인물의 눈동자나 속눈썹까지 선명하게 담아줍니다.
실내 인물 스튜디오 촬영이나 야외 일물 스냅에서 모두 훌륭한 화질로 프로급 결과물을 보여줍니다.
캐논 EOS R5m2 고속연사와 고해상도의 균형
캐논 EOS R5 Mark 2는 2024년에 발표된 최신 모델로, 전문가용 카메라 추천 리스트에서 빠질 수 없는 하이엔드 하이브리드 카메라입니다.
약 4500만 화소의 풀프레임 센서를 신형 적층형 BSI CMOS로 업그레이드 하여 화질은 유지하면서도 센서 읽기 속도를 대폭으로 높였습니다.
그 결과 기계식 셔터로 초당 12연사, 전자식 셔터로 무려 초당 30장의 연속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입니다.
R5m2 성능
사진 성능도 뛰어나지만 동영상 스펙도 뛰어납니다. 최대 8K 60p RAW 내부 녹화 지원과 8스톱까지 보정되는 바디 손떨림 보정
576ㅣ만 도트 EVF와 120Hz 주사율 듀얼카드 슬롯 등 사진가를 위한 모든 기능이 들어 있습니다.
그립감과 방진방습 설계는 이미 전작에서 검증이 됐고 배터리도 LP-E6NH 를 이용해 장시간 촬영이 가능합니다.
실사용결과 R5m2는 올라운더 카메라 라는 평가를 내릴수 있습니다. 완성형 카메라라는 평가를 많이 받고 있습니다.
R5m2 사진 성능
해상도 4500만 화소는 소니의 6100만화소보다 낮지만 풍경, 상업 사진에 충분한 고화소이며 파일 용량이나 노이즈 면에서 밸런스가 오히려 좋습니다.
실제로 연사 속도 면에서 R5m2는 동급 경쟁 기종들을 압도하기 때문에 스포츠, 야생 촬영을 하는 사진가들이 매우 좋아하고 있습니다.
기존 R5m1 대비 1.5배 높은 연사 속도를 바탕으로 결정적인 순간 포착에 큰 힘이 됩니다.
R5m2 그외기능
초당 30매 촬영시에도 EVF 미러 블랙아웃이 없어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적하며 끊김없이 촬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혁신적입니다.
또한 캐논 플래그십 EOS R3에서 계승한 Eye Control AF 기능이 탑재되어 뷰파인더를 보는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으로 초점 이동 지점을 지정할수 있습니다.
이 눈동자 AF기술과 딥러닝 기반의 진화된 듀얼픽셀 CMOS AF2 시스템이 결합되어 사람의 눈, 얼굴, 머리, 동물, 그리고 자동차, 오토바이, 기차, 비행기 까지 인식하는
높은 수준의 자동 추적 AF 성능을 보여줍니다. 한마디로 정지 사진과 동체 추적 모두에서 현재 시장 최고 수준의 만능 성능을 보여주고 있는 카메라입니다.
R5m2 적합한 촬영
어떤 촬영에 적합할까요?
사실상 어느 분야든 두루 좋은 최고의 사진용 미러리스 카메라라고 할수 있습니다.
풍경사진에서는 4500만 화소의 뛰어난 해상력과 캐논 특유의 색감으로 엄청난 결과물을 보여줍니다.
인물 사진 카메라로도 훌륭한데 정확한 Eye-AF로 결정적인 순간을 담을수 있으며 색감이 좋아 모델들도 만족감이 높습니다.
패션화보에서도 정확한 색감과 충분한 퀄리티로 매우 훌륭합니다.
특히 동급 최고인 30fps 연사와 강력한 추적 AF로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도 아주 쉽게 포착해줍니다.
예들 들어 새가 나는 모습이나 경기장의 역동적인 순간 포착은 R5m2의 기존 미러리스 카메라의 업그레이드를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전문 사진가가 어떤 촬영을 하게 되더라도 R5m2와 함께라면 어떤 촬영도 가능합니다.
추천렌즈
Canon RF 15-35mm F2.8L IS USM : 초광각 줌렌즈로 풍경부터 건축, 인테리어 촬영에 최적입니다.
15mm의 매우 넓은 화각으로 광활한 풍경을 한프레임에 담을수 있으며, F2.8의 밝은 조리개와 손떨림 보정 덕분에 어두운 실내나 야경촬영에도 유리합니다.
Canon RF 24-70mm F2.8L IS USM : 전천후 표준 줌렌즈로, 여행 스냅, 일상 사진, 웨딩 및 행사 촬영, 제품 사진 등 어떤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화질을 보여줍니다.
24mm에서 넓은 풍경과 단체사진을 담고 70mm에서는 인물의 표정이나 제품의 디테일을 클로즈업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습니다.
Canon RF 85mm F1.2L USM : 최고의 인물용 단렌즈중 하나로 매우 넓은 F1.2 조리개를 통해서 예술적인 얕은 심도효과를 보여줍니다.
인물의 눈에 또렷이 초점을 맞추고 배경은 부드럽게 녹여내면서 피사체를 돋보이게 만들어줍니다. 해상력도 뛰어나 R5m2의 센서를 완벽하게 활용합니다.
스튜디오의 인물 화보나 야외 보케 표현이 중요한 촬영에서 탁월하며, 색수차 억제와 선예도가 뛰어나 프로들이 가장 많이 애용하는 렌즈입니다.
니콘 Z7m2 풍경 전문가를 위한 최고의 선택
Z7m2 성능
니콘의 고화소 미러리스 라인업으로 풍경 사진가들에게 특히 인기 있는 카메라라고 합니다. 4570만 화소의 풀프레임 BSI CMOS 센서는 베이스 iso가 64로 설정되어 있어 최대한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확보 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실제로 ISO 64에서 촬영한 RAW파일은 암부와 명부를 보정할 여유가 크기 때문에 중형 포캣 카메라에 대적할수 있는 다이내믹 레인지를 보여주고 있는 카메라 입니다.
이런 뛰어난 화질과 색 표현력 덕분에 Z7m2는 풍경 사진 카메라로서 현존 최강의 카메라로 알려져 있습니다.
Z7m2 사진 성능
니콘의 하이브리드 AF시스템을 통해서 위상차 콘트라스트 검출을 조합한 493개 AF 포인트를 가지고 있으며, 사람 눈동자 AF와 동물 눈인식 AF를 지원합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로 성능이 더욱 개선되어 정지 인물이나 동물 촬영에서는 초점 정확도가 많이 올라왔지만 동체 추적능력이 경쟁사 모델들에 비해 조금 뒤쳐지는 의견이 있습니다.
덕분에 더더욱 풍경사진 최강 카메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속 촬영 속도는 최대 초당 10fps로 스포츠에는 조금 부족하다는 평가입니다.
EVF는 369만 도트로 경쟁 기종에 비해 해상도가 낮은편이지만 색 정확도와 지연 없이 즉각적인 뷰 제공으로 OVF에 익숙한 니콘 사용자들도 만족할 만한 부드러운 시야를 보여줍니다.
Z7m2 그외기능
ISO 64를 활용해 촬영한 파일을 현상하면 암부부터 명부까지 디테일이 모두 살아있는 놀라움에 감탄한다고 합니다.
파나소닉 S1R 디테일과 색감에 강한 스튜디오 카메라
S1R 성능
바디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제작되어 상당히 크고 무겁지만 그만큼 튼튼한 내구성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프로 현장에서 장시간 촬영해도 발열 관리가 잘 되고 방진방적 처리로 야외 약천후에서도 버티는 바디 입니다.
5축 바디 내장 손떨림 보정은 단일 바디로 5.5~6스톱 듀얼 IS지원 렌즈와 조합시 최대 6.5스톱 보정 효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높은 화소에서도 핸드헬드 촬영 시 블러를 최소화 할수 있습니다.
EVF는 576만 도트 OLED 패널에 0.78배 배율로 부드럽고 선명한 시야를 제공하며 후면 LCD는 3.2인치 210만 도트의 3방향 틸팅 터치스크린입니다.
S1R의 독특한 듀얼 힌지 설계로 LCD를 가로/세로 방향 모두 틸트시킬 수 있어 스튜디오에서 카메라를 세로로 세워 촬영할 때도 아래로 기울여 모니터링하기 좋습니다.
메모리카드는 XQD/CFexpress Type B와 SD UHS-II 듀얼 슬롯을 갖춰 대용량 연속 촬영 시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S1R 사진 성능
파나소닉 루믹스 S1R은 4730만 화소의 풀프레임 센서를 장착한 미러리스 카메라로 정밀한 이미지 품질과 견고한 바디로 유명합니다.
이카메라의 센서는 뛰어난 디테일과 풍부한 다이내믹 레인지, 우수한 고ISO 성능을 보여주며 새로운 센서는 훌륭한 디테일과 다이내믹 레인지로 정말 좋은 이미지를 만들어줍니다.
기본 화소수만으로도 충분히 고해상도이지만 S1R은 초고해상도 멀티 샷 모드를 지원하여 최대 1억8천7백만 화소의 이미지를 생성할수 있습니다.
삼각대 위에서 센서를 미세 이동시키며 8장의 사진을 합성하는 방식으로 정적인 장면에서 색정보와 해상도를 극한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미술작품의 아카이빙이나 제품 사진에서 제품의 질감을 극도로 선명하게 담아내는데 유용합니다.
S1R 그외기능
오토포커스는 S1R의 가장 논쟁이 되는 부분입니다. 콘트라스트 AF기반의 DFD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인데, 이는 위상차 검출 픽셀이 없는 대신 렌즈의 초점 이동 데이터를 활용하여
빠르게 콘트라스트 검출을 하는 파나소닉 고유의 기술입니다. 정지된 피사체에 대한 단일 AF-S는 매우 빠르지만 연속 AF-C모드에서는 미세한 초점 헌팅 현상이 발생하고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적할때
효율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특히 피사체와 거리가 계속 변하는 상황에서는 AF가 약한편입니다.
그러나 색감이 고급스럽고 ISO3200 까지도 노이즈 억제가 잘 되어 실내 촬영에서도 우수하다고 합니다.
각 분야별 최적의 카메라
위 내용을 바탕으로 각 촬영 분야별로 추천을 드리겠습니다. 자신이 주로 찍는 피사체와 용도를 염두에 두고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풍경사진 : Nikon Z7m2
인물사진 : Canon EOS R5 Mark2
제품 및 스튜디오 촬영 : Sony A7r5, Panasonic S1R
스포츠, 야생동물 촬영 : Canon EOS R5 Mark2
여행/ 올라운더 용도 : Canon EOS R5 Mark2
마지막으로 카메라선택에서는 절대적인 1등을 가리기보다는 본인의 촬영 스타일과 우선순위를 고려하는게 좋습니다.
풍경과 정물을 위주로 촬영한다면 디테일과 색감을 최우선으로 보는것이 맞고, 인물이나 움직이는 피사체를 많이 찍는다면 AF와 연사성능이 매우 중요합니다.
위 네 모델들은 모두 전문가용으로 손색없는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각자의 강점 분야가 조금씩 다르기때문에 이 글에서 소개한 특징들과 실사용 후기들을 참고하셔서
자신의 촬영 스타일에 맞는 최적의 카메라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어떤 카메라를 선택하시던 사진 촬영의 즐거움을 느끼는데는 아무런 무리가 없을것 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촬영 되세요^^